(주)한국수산식품안전연구소는

온 국민이 안전한 수산물을 즐길 수 있도록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기여하고자 합니다.

Notice

공지사항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올해 3월 우리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조사에 따르면 국내산 수산물과 관련한 시급한 개선 과제로 응답자의 42.3%가 수산물 취급관리 안전성 향상을 꼽았고, 유통·판매 과정에서의 신선도 유지를 지목한 비율도 17.7%나 됐다. 결국 수산물의 위생과 안전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고, 변함없는 육류의 인기 속에 젊은 층을 중심으로 ‘소비 절벽’에 맞닥뜨린 국내산 수산물 소비를 진작시킬 해법이라는 것이다.

-취급 부실 수산물 맛·품질 악영향
-연 1조 2000억 원 상당 폐기 손실
-“노후 위판 시스템 개선해야”

지난 6일 벡스코에서 열린 부산국제수산엑스포의 부대 행사로 부산수산정책포럼이 개최한 ‘수산물 위생·안전 관리방안’ 토론회에서 수산인과 전문가들은 생산 보관 가공 유통 전 단계에서 보다 철저한 위생·안전 관리를 통해 수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어획 후 유통 단계에서 취급 부실로 인해 연간 1조 2000억 원 가량의 수산물이 버려지는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품질관리 강화는 연근해 어획량 급감으로 침체일로에 빠진 국내 수산업의 채산성 개선을 위해서도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됐다.

임준택 수협중앙회장은 “어획 후 관리의 중요성은 단순히 경제적 손실을 막기 위한 것으로 그치지 않는다”며 “고도화되고 체계적인 관리가 전제된다면 수산물의 맛과 품질이 더 높아지고 이는 소비 수요 증대 효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손재학 부산수산정책포럼 대표는 “수산물 위생 안전관리 제도가 정착되려면 생산자는 물론 유통·가공 과정 등 모든 수산업계 종사자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목 부경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수산물 생산·가공·유통 단계 식품위생 안전관리’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어장에서 식탁까지 수산식품 안전과 품질관리에 대해 일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시행 중인 수산물이력제를 통해 생산, 가공 유통 경로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식품안전위해요소가 상대적으로 큰 수산물은 의무화 대상 품목으로 지정하고 이를 확대해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생산단계를 예로 들면 어선 어업의 경우 어선에서의 주기적인 세척과 위생 안전관리로 어획 단계에서의 교차오염을 최소화하는 등 어선 위생관리 가이드라인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양식장은 잔류 항생제나 금지약물 사용 등 자주 발생하는 위해요소 중심으로 안전관리를 전환하는 등 양식장 HACCP(해썹) 인증이 보다 실효성을 갖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박준모 수협 수산경제연구원 박사는 현재 국내 수산업의 어획 후 관리 개선 방안 중 하나로 선별 경매 재포장 배송으로 이어지는 산지 위판장의 양륙시스템을 보다 선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양륙시스템의 문제로 △위판장 노후화 △외부 환경에 노출된 취약한 구조 △온도 관리 미비 △작업공간 미구분 등을 꼽으며, 위판장 품질·위생관리 시설 개선과 매뉴얼 제정, 종사자 교육 등을 해법으로 제시했다.